/
/
샤르도네는 이곳에서 차가운 석회질 점토를 만나 다른곳에서는 재연할 수 없는 풍미를 낸다. 남쪽의 부르고뉴 화이트들과도 상당히 다르다. 샤블리는 드라이하고 뻑벅하지만 거칠지 않으며, 풍부한 미네랄과 함께 푸른 건초 느낌도 준다. 실제로 어린 와인은 초록빛깔을 띠기도 한다. 그랑크뤼와 최상금 프리미에 크뤼는 견고한 맛과 함께 거의 불멸의 생명을 지닌다. 병 안에서 10년을 보내고 나면 낯설면서 입맛 다시게 하는 신맛이 생겨나며, 황금빛 녹색은 마치 푸른 눈동자처럼 반짝인다. 숙성 중 일정 시기에는 젖은 양모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정을 떼는 것은 애석한 일이다. 샤블리의 밭들은 기후가 서늘하므로 더 세심한 환경이 필요하다. 부르고뉴 지역 가운데 상파뉴에 가장 가깝다. 즉 상파뉴와 비슷한 지질에 비밀이 숨어있다는 얘기다. 석회암과 점토로 된 넓은 침하 유역의 가장자리에 돌출한 샤블리는, 선사시대의 굴 껍질들이 부서져 독특한 석회질 토양을 만들었는데, 영국 도싯의 마을 이름을 따서 이 흙을 키머리지라 부른다. 굴과 샤블리는 식탁에서뿐만 아니라 태초부터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드라이한 샤르도네는 샤블리의 유일한 품종이다. 현지에선 보누아라고 부른다.
-휴 존슨 잰시스 로빈슨의 와인 아틀라스
샤블리는 부르고뉴 최북단에 있는 소구역으로, 코트 도르와 나머지 소규역들의 북쪽 위로 내륙 깊숙한 곳에 고립된 섬처럼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샤블리 포도밭은 상파뉴와 32km 정도 거리에 있는데, 부르고뉴의 다른 지역들이 97km 이상 떨어져 있는 데 비하면 훨씬 가까운 것이다. 샤블리는 탄성이 나올 만큼 경관이 멋진 곳이다. 포도밭들이 마치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처럼 근사한 장관을 이루며 펼쳐져 있다. 희끄무레하고 딱딱한 석회질 토양은 너무 황량해서 새벽녘에 보면 마치 달 위애 있는 듯한 착각이 일게 한다. 작은 샤블리 마을은 쥐죽은 듯이 조용하다. 이 지역은 단 한 가지 와인으로 유명한데 그것은 바로 샤르도네다. 샤블리는 19세기 후반 이후 유명해졌는데, 이 이름을 미국인과 오스트레일이라인 저그 와인양조업자들이 값이 저렴한 일반 화이트 와인 어느것에나 '샤블리'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불법적으로 먼저 라벨에 사용했다.
-더 와인 바이블 캐런 맥닐 저
Link #2 : 03000000
|
이전페이지 | 11 | 12 | 13 | 다음페이지 |